윌리엄 위더링 William Withering(1741ㅡ)
의학계의 선구자 심장 의학의 역사 위대한 의사 윌리엄위더링
윌리엄위더링은 영국의 의사로서
디기탈리스의 강심작용에 관해 체계적으로 탐구한 최초의 의사이다
윌리엄위더링은 영국의 의사 지질학자 화학자 식물학자이다
윌리엄 위더링은 웰링턴 쇼프셔에서 태어났고 집안에는 의사와 의료업에 종사하는 이들이 많았다
그는 에딘버러 의과대학 버밍엄 종합병원에서 수석의사로 훈련하고 의학을 공부했다
영국 버밍엄에 있던 '루나 소사이어티(Lunar Society 달의 학회)'의 회원으로 위더링 박사는 이모임에 속한 식물학자였다
달의 학회는 달이 완전히 차는 보름달이 뜨는 날마다 정기적으로
과학자들이 만나 저녁식사를 하면서 토론을 하며 이야기를 하는 모임이다
윌리엄 위더링은 스탠포드라는 도시에서 병원업을 하면서 진료외에도 화학과 지질학에 관심을 가졌고
성홍열에 대하여 연구했으며 식물과 채소의 관찰과 탐구에 많은 시간을 썼다
식물에 대한 그의 연구는 상당한 궤도에 올라 병원을 버밍엄으로 옮긴후 1776년에는
<영국에서 자생하는 식물들의 식물학적 분류>라는 책을 발행한다
윌리엄 위더링은 심장질환을 가진 환자들을 치료하던 차에 폭스글로브가 심장 수축 강도를 증가시키는 성분인
디기탈리스 성분이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10여년간 디기탈리스를 연구했다
그리하여 디기탈리스의 치료효과를 임상적으로 연구하고 상태를 기록한 방대한 임상자료이자
오늘날 의학고전의 하나로 손꼽히는
'폭스글로브에 관한 보고서 (An Account of the Foxglobe 1785)' 를 출판하게 된다
디기탈리스가 심장을 강하게 하고 붓기를 제거한다는 것을 의학적으로 증명한 책이다

윌리엄 위더링은 슈롭셔에서 민간 치료사로 활동한 집시 여인에게서
디기탈리스의 '드롭시'(수종병 水腫病 dropsy) 에데마 치료법을 알게 된 것으로 전해진다
디기탈리스(심장풀 Grecian Foxglove, Digitalis purpurea)는
라틴어 디기투스 ‘digitus (장갑의 손가락)’라는 뜻에서 유래했으며
방울처럼 달린 꽃봉오리에 손가락을 넣으면 잘 맞았던 까닭에
유럽에서는 여우장갑(foxglove) 혹은 요정의 손가락(fairy finger)이라는 재미있는 동화적 별명도 가지고 있다
유럽이 원산인 귀화식물로 홍자색(붉은빛이 도는 보라색)이 나고
원줄기에서 위쪽으로 피어 올라가는 종처럼 생긴 통꽃이다
원뿔형이고 꽃잎은 뒤로 살짝 말려있으며 꽃받침 잎은 5개로 달걀형태의 바소꼴로 생겼고
가장자리에 물결무늬의 톱니가 있으며 추위에 강하고 씨앗번식을 한다
디기탈리스의 꽃말은 '소원(Wish)'이다
오래전부터 서양의학에서 심장질환을 치료하는 약으로 사용하여 심장풀 심장초 라 한다
디기탈리스는 심장근육의 수축력을 증가시켜 수축기의 혈액 수축량을 크게 증가시킨다
따라서 혈액순환을 원활히 하는데 탁월한 효과가 있다
강심 이뇨작용으로 심장을 강하게 하고 붓기를 없애는 세계적인 식물이다
상처를 아물게 하고 건위 항암작용을 한다
윌리엄 위더링은 디기탈리스를 연구하여 인류의 생명과 의학계의 발전에 공헌한 위대한 의사이다

William Withering and Mother Hutton
위더링에게 심장을 치료할 수 있는 허브차의 비밀 처방이 담겨진 종이를 건네고 있는 집시여인 마더 허튼
위더링은 마더 허튼에게서 받은 허브차를 연구해서 20가지 정도의 성분이 있음을 알아냈다
그 중에서 보라색 디기탈리스(Digitalis Purpurea)가 효과가 있음을 발견하고
위더링은 10여 년동안 디기탈리스의 치료 효과를 분석 탐구했다
디기탈리스 잎을 사용하여 150명이 넘는 환자를 치료하고 상태를 자세히 기록했다
그리하여 심장병을 치료한 꼼꼼하고 세심하고 방대한 임상자료인
'폭스글로브' (Account of the Foxglove)를 1785년 44세의 나이로 그의 계정을 출판했다
위더링은 환자들을 치료한 사례를 기록하고 이 사례를 통해
이 약을 가장 안전하고 잘 투여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말하고 있다

허브(Herb)종이며 키가 1m정도까지 곧게 자라고 위쪽으로 피어오른다
식물전체에 털이 있고 디기탈리스의 잎을 말린것을 디기탈리스 또는 모지황(毛地黃)이라고 한다
꽃은 7~8월에 피며 흰색 보라색 핑크색등의 색상과 20가지의 품종이 있다
디기탈리스의 잎이 심장약으로 사용된다
심장수축세기를 증가시키고 심장의 박동과 심장운동을 활발하게 하는 작용을 한다
독성이 강하나 잘 사용하면 몸의 기능을 활성화한다
고대사회에서는 상처와 타박상의 회복을 위하여 외용약으로 사용했다고 한다
위더링의 연구로 디기탈리스는 생명을 살리는 약용식물로 알려지게 되었고
강심 이뇨작용을 하는 원재료로 사용되고 있다

이 책은 디옥신 등 현대 의약품에 쓰이는 심장 글리코사이드라는 치료 물질이 들어있는
보라색 폭스글로브와 위더링의 임상 경험을 그리고 있다
이 책은 기본적으로 디기탈리스(Digitalis)의 10년 임상실험을 상세하게 다루고 있으며
당시의 의학계를 보호하기 위해 출판되었다
이 책에서 위더링은 158명의 폭스글로브 환자를 치료하고
그 중 101명의 환자가 어떻게 심장질환이 완화되었는지를 경험한 것에 대해 말하고 있다
위더링은 폭스글로브를 투여할 때 사용되어야 하는 정확한 단일 용량에 대해서도 기록했다
디기탈리스는 계속 연구되어 오늘날 디곡신(digoxin)이라는 약으로 만들어져 심질환환자들에게 사용되고 있다

디옥신은 심장박동 심방세동 울혈성 심장병등
심장질환을 치료하는 놀라운 능력을 가진 약이다
위더링은 스태포드(Stepord)종합병원의 창립의사로서
환자들을 돌보면서 자기가 채집한 식물들을 분석 연구하였다
열성적으로 환자들을 진료 치료하였고 환자들에게 선행을 베풀고
의사로서 좋은 일을 많이 하였다
심장을 살리는 식물 디기탈리스 폭스글로브는
윌리엄 위더링의 공적에 영예롭게 올려져있다

폭스글로브에 관한 보고서 <An Account of the Foxglove 1785>에 대한


생약이 처음 약용된 기록은 1640년의 일이고 이때에는 치료제로 권장되었고
1650년에 비로소 London약전에 수재되었다
1775년에 영국의 윌리엄 위더링(William Withering)에 의해 근대적인 연구가 비롯되었고
William Withering은 1785년 이 생약에 대한 연구 결과를 처음 발표하게 되었다
의약학적인 용도 즉 수종치료등에 쓰일 수 있다는 것을 발표하게 되었고
1783년에 영국의 Edinburgh약전에 수재되었다

윌리엄 위더링 박사가 식물을 관찰 연구하기 위하여 고안 설계한 놋쇠광학장비


Pocket microscope by Withering
윌리엄 위더링 박사는 <영국에서 자연적으로 자라는 모든 채소들의 식물 배열 1776>
이라는 책의 저자로서 식물의 관찰에 유용한 현미경을 직접 고안 설계하였고
이 현미경들을 이용한 식물의 시료 과정과 분석단계를 책에 잘 묘사하고 있다
현미경은 원반에 장착된 하나의 렌즈로 구성되어 있으며 3회에서 5회까지 시료를 확대할 수 있다
식물의 잎이나 줄기를 지지하도록 설계되어있고 위더링 박사는
이 현미경들을 사용하여 채집해온 식물을 시험하고 검사하고 분석하였다
이 현미경들은 훌륭한 발명품으로 현미경수집가들의 칭찬을 받았다

Dr.William Withering 1741~
서양에서 디기탈리스(Digitalis)는 6월13일의 탄생화이다
누군가가 탄생한 달을 상징하는 꽃이다
탄생화는 누군가의 생일을 축하하기 위한 꽃으로 선물의 의미가 있다

디기탈리스(Digitalis purpurea)는

윌리엄 위더링은 그의 예전 환자이면서
식물학 일러스트레이터(Botanical illustrator) 였던
헬레나 쿡스 (Helena Cookes) 와 결혼했다 (1772)
헬레나 쿡스는 윌리엄 위더링이 수집해 온 식물들을 스케치했다
윌리엄 위더링은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해 포르투갈로 두 번의 여행을 하게 된다
윌리엄 위더링은 열정적인 지질학자이면서 화학자였다
위더링은 영국과 해외의 많은 온천수를 분석하고 연구하였으며
건강증진을 위해 여행하였던 포르투갈에서 윌리엄 위더링은
이후 포르투갈 왕립과학원 펠로우쉽에 선출되었다
집으로 돌아와서 윌리엄 위더링은 1785년 명문 왕립학회의 회원으로 임명되고
이듬해에 위더링은 에드바스턴 홀(현재 골프 클럽과 자연보호구역의 본거지)을 임대했다


병원에서 위장 검사를 할 때 X-RAY를 통해 위장의 이상 유무를 모니터로 확인하는 검사를 한다
이때 이용되는 것이 바륨이라는 흰 물약이다
바륨으로 위장 내막을 코팅한 후 바륨이 들어간 위치에 X선을 쐬면 백색으로 나타나
장기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바륨(Barium)은 원자번호 56번의 원소로 원소기호는 Ba이고 알칼리토금속에 속하는 금속 원소이다
이 원소의 광석들이 무겁기 때문에 그리스어로 '무거운'을 뜻하는 'barys'를 따서 지었다고한다
지각에 14번째로 많이 들어있는 원소로 위더라이트(witherite,BaCO3)에서도 생성이 된다
은백색을 띠며 납과 비슷한 성질을 지니고 있다
바륨이 알려진것은 의료계에서 X선 검사에 바륨을 사용하면서부터이다
바륨은 병원에서 위장의 엑스선 촬영으로 장기를 진단 할 때나
잉크 코팅 페인트 플라스틱에도 쓰이고
탄산바륨은 유리나 도자기 유약을 만들 때 사용되는 등
바륨은 여러 모로 쓰이는 곳이 많은 원소이다
의사이면서 식물학 지질학 화학을 두루 연구했던 윌리엄 위더링 박사
스코틀랜드의 의사 윌리엄 위더링(William Withering 1741~)은
컴벌랜드(Cumberland)의 납 광산에서 무거운 광석을 발견한다
이는 1789년에 탄산바륨(BaCO3) 광석으로 밝혀졌고
이를 발견한 위더링의 이름을 따서 위더라이트(witherite)로 명명되었다

Dr.William Withering 1741~
위더링의 공로와 업적을 빼앗으려는 좋지않은 일들이 있었으나
위더링은 잘 이겨냈고 위더링의 명성과 업적은 의학사에 명예롭게 올려져 있다
윌리엄 위더링은 디기탈리스(Digitalis)를 연구하여 의료계를 보호하고
수많은 생명을 살린 의학사에 빛나는 위대한 의사이다

위더링의 디기탈리스의 의학적 성질에 대한 발견과
식물학에 대한 광범위한 공적을 기념하기 위해
기념비에는 여우굴과 식물 위더링기아 솔라나과가 새겨져 있고
버밍엄에 있는 달학회의 월석과 에드바스턴 홀에 있는 파란 명판에도
윌리엄 위더링의 이름이 쓰여져 있다
2011년 7월 위더링의 출생지인 웰링턴에는 위더링의 공적을 기념하기 위하여
위더링의 이름이 쓰여진
J D Wetherspoon(Witherspoon) 저택이 있다
명판에는 다음과 같이 적혀 있다
"의사이자 선구적인 과학자 윌리엄 위더링은
심장병 치료에 사용되는 디기탈리스를 발견했다"


위더라이트 Witherite (탄산바륨 Barium carbonate BaCO3 )은
독중석(毒重石) 독중토석(毒重土石) 라고도 한다
윌리엄 위더링이 탄산바륨의 성질을 분석하고 연구한 공로를 인정받아
위더라이트라는 이름을 수여받았다
위더라이트는 독성이 있으며 유리와 도자기와 플라스틱을 만들 때 사용된다
설탕에서 불순물을 제거하여 순수하게 만들 때도 쓰인다
탄산바륨을 침전시켜 만든 침전탄산바륨은 백색의 분말로
공업용수에서 불순물 제거할 때와 고무 비누 설탕공업 등에 사용된다
'나뭇잎한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Frederick W Taylor(2020.11.03) (0) | 2020.11.03 |
---|---|
Neil Armstrong (2020.10.21) (0) | 2020.10.21 |
건강한생활 (2020.09.14) (0) | 2020.09.14 |
Frank Gehry (2020.09.03) (0) | 2020.09.03 |
윌리호니스(2020.8.3) (0) | 2020.08.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