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rederick W Taylor(2020.11.03)

프레데릭 윈슬로 테일러
Frederick Winslow Taylor 1856. 3. 20 ㅡ
미국 필라델피아출생 미국 경영학의창시자 산업공학자 시간동작연구
과학적관리법을 창안하여 공장 경영의 합리화와 개혁에 큰 공적을 남긴 경영학의 선구자
경영컨설턴트 미국의 기계기술자 테니스선수 골프선수
뉴햄프셔 명문사립고등학교 필립스 엑서터 아카데미 하버드법대 합격
스티븐스 공과대학교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명예박사
프레데릭 윈슬로 테일러는 노동에 대한 최초의 과학적 관리법인 <테일러 시스템>의 창안자이다
'과학적 관리론'의 원조로서 산업관리의 효율성을 주장한 이론으로 미국과 근대산업을 발전시키는데 큰 공헌을 한 선구자이다
테일러는 어린시절에는 펜실베이니아 Germantown 아카데미에서 교육을 받았고 유럽을 두루 여행했다
1872년 필립스 엑서터 아카데미에 입학하여 배우고 그는 학문적으로도 천재성을 나타내었으며
운동에서도 야구의 투수 및 팀 주장으로서 두각을 나타냈다
하버드대학 법대에 합격한 뒤 필라델피아에 있던 엔터프라이즈 유압공장에서 모형제작일과 기계공작업을 배웠다
미드베일제강회사(Midvale Steel Company)에 입사한 테일러는
미드베일 공장에 스톱워치(stop watch)를 이용한 시간동작연구를 도입하여 시간연구(time study)를 수행하였다
작업 중에 수행되는 시간과 동작에 대한 연구로서 과학적 관리운동의 일환으로서 사용되었으며
작업 수행 중 모든 작업에 대한 정확한 시간을 계산하기 위해서 스톱워치를 사용하여 단위시간을 측정하였다
테일러의 이론은 본질적으로 시간과 동작의 낭비를 줄임으로써
작업장이나 공장에서 생산의 효율성을 급격히 높일 수 있음을 말한 것이었다
이 연구계획의 성공으로 시간동작연구가 전문적인 연구분야로 확립되었으며 테일러경영학 이론의 기초가 되었다
생산성 향상 측면에서 테일러 이론이 유용하다는 것은 명백했으며
이 이론으로 1883년 스티븐스공과대학으로부터 기계공학학위를 받았다
그리고 발명에 열중하여 테일러의 이름을 붙인 40개 이상의 특허를 얻었다 이후 테일러는
'경영자문기사'(consulting engineer in management)라는 직종의 창시자가 되어 여러 유명회사에서 근무하고
대학과 전문가협회 등에서 강의를 하며 과학적 관리의 원칙을 장려하기 위하여 계속해서 시간과 경비를 투자했다
1906년 테일러는 미국기계공학학회 회장으로 선출되었고 펜실베이니아 대학교로부터 명예 과학박사학위를 받았다
테일러의 여러 유력한 출판물들은 처음에는 미국기계공학학회의 보고서 형식으로 발간되었다
〈벨트장치에 관한 기록 Notes on Belting〉(1894)〈성과급체계 A Piece-rate System〉(1895)
〈공장 관리 Shop Management〉(1903) 가 있고 1911년에 프레데릭 윈슬로 테일러의 대표적인 저서인
〈과학적 경영의 원리 The Principles of Scientific Management〉가 공간(公刊)되었다
이 책은 미국에서 센세이션을 일으켜 스톱워치를 구하기가 힘들 정도였다고 한다
테일러의 이론은 산업체계를 획기적으로 개혁시켰으며 기업계를 점령했고 테일러의 이름은 전세계적으로 유명해졌다
테일러는 산업계의 발전에 공헌한 공로를 인정받아 펜실베이니아 명예박사학위를 받았고
다트머스대학교 경영 대학원의 교수로 임명되었다
프레데릭 윈슬로 테일러는 미국의 황금기와 2차세계대전의 승리와 냉전체제에서 자본주의의 승리를 이끌어낸
위대한 공학자이며 과학자이다
경영의 대가 프레데릭 윈슬로 테일러의 스톱워치(stopwatch)
'시간연구'의 창시자는 테일러(F.W. Taylor)로서 스톱워치법(stop-watch法)은 테일러에 의해 창안된 것이다
시간 관리는 과학적 관리법(scientific management , 科學的 管理法)으로 알려진 테일러(F. W. Taylor)가
19세기말부터 발표한 기법이며 그의 과학적 관리법의 일환으로 개발된 것이다
작업을 수행하는 시간을 스톱워치로 측정하고 일정한 보정(補正)을 하여 표준 작업시간을 설정하는 방법이다
표준(標準)화, 계획(計劃)화, 통제(統制)화 한다는 원리와 근거에 의해 생산활동을 합리적으로 운영한다는 것이다
과학적 관리법은 현실적이며 생산성 향상을 목적으로 한 현장의 조사연구에 입각하여 확립되었고
이러한 테일러의 시간관리기법은 현재의 IE(Industrial Engineering, 경영공학)의 기초가 되었으며
"테일러의 스톱워치는 미국의 새시대를 알리는 상징이다" 라고 평가될만큼 획기적인 창안이었다
과학적 관리법(scientific management) 또는 과학적 경영은
창안자인 프레데릭 윈슬로 테일러의 이름을 나타내는 테일러리즘(Taylorism)이라고 일컬어진다
제조과정의 정확성을 통해 생산관리를 개선한 과학적관리법은 정확한 수치를 강조하고
인본주의적 경영관리는 동기부여를 강조하여 생산량을 증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는 이론이다
생산공정에 대한 완벽한 분석, 업무를 체계화하려는 광적인 노력,개척자적인 연구
창조적성향, 생산도구와 기술의 표준화를 통해 생산량을 높이고자 했으며 이러한
효율을 중요시하는 테일러리즘은 기업계에 전적으로 수용되어졌고 미국을 세계최강국이 되게하였다
테일러리즘은 전세계적으로도 유명해져서 각나라에 포용되었으며
우리나라가 급속히 발전하는데도 크게 공헌 하였다
Nicetown,28th Ward, Philadelphia, Midvale Steel Works
1884년 미드베일에서 테일러는 하루에 제품을 얼마나 생산할 수 있는지에 대한
정확한 기준을 측정하기 위해 스톱워치를 이용하여 연구를 하기 시작했다
테일러는 작업중의 세부적인 행동까지 조사하여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권고를 하였으며
단 1초라도 중요하게 생각하고 측정하였다
테일러는 워낙 재능이 뛰어났기 때문에 여러 차례의 승진을 거쳐
얼마되지 않아 미드베일 공장을 총괄하는 관리직으로 승진했다
그리고 새로운 기계작업장을 설계하고 건축하였으며
과학적관리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계속 연구하였다
A sketch depicting Taylor doing time research through a stopwatch
프레데릭 윈슬로 테일러는 공장에 스톱워치를 들고 나타났다
미드베일의 최고 엔지니어인 그는 작업장에서 일이 어떻게 진행되는지 정확히 잴 수 있다면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끌어올릴 수 있을 것으로 생각했고 초시계로 연구하여 공장의 생산량을 최대로 향상시켰다
현대경영학은 테일러의 스톱워치에서 시작되었으며 경영은 스톱워치로 과학이 되었다
The Bethlehem Steel plant 1896
1890년부터 테일러는 세계최초로 경영 컨설턴트로 활동하기 시작한다
테일러는 위스콘신에서 제지업(製紙業)을 하는 '필라델피아 생산 투자 회사'에서
총지배인과 컨설팅 엔지니어로 일했다
1893년에는 필라델피아에 경영컨설팅 사무소를 설립하여 자기의 경영 체계를 완성하고
1895년 자기의 첫 논문인 '성과급 제도'(A piece-rate system)를 발표한다
테일러의 명함에는 "컨설팅 엔지니어 - 공장 관리 체계화 및 제조 비용 전문" 이라고 적혀 있었다
이러한 다양한 컨설팅 경험을 통해 자기의 경영 시스템을 완성하게 되고
첫 논문인 "A Pict Rate System" (성과급체계)이 1895년 6월 미국기계학회(ASME)에 발표되었다
1898년부터 1901년까지 펜실베이니아 베들레헴 제강회사(Bethlehem Steel)에서
공장생산원가에 관한 프로젝트에 참여한다
용광로에 철광석을 넣어 녹여 운반하는 작업을 통해 스톱워치로 작업량 실험을 하였다
이 실험을 하는 동안 좋지않은 일들이 있었으나,
테일러는 모든 게 다 자기의 뜻대로 이루어질 것이라는 믿음을 가지고
자기의 의지대로 연구를 계속 하여 새로운 생산기법을 창안하게 된다
테일러의 집념과 노력이
'과학적관리법(The Principle of Scientific Management)'이란 책으로 탄생하게 된것이다
현대 경영학의 고전이며 현대 경영학의 기틀을 만든 '테일러 시스템'은
프레데릭 윈슬로 테일러의 일념과 집념어린 노력 덕분에 태어난 것이었다
이 생산기법으로 대량 생산과 대량소비가 가능해져서
인류의 생활과 인간의 삶은 획기적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과학적 관리법'은 경영에 전문화를 도입하고 작업의 흐름을 과학적으로 체계화하여
생산성 극대화 원리를 정립한 공학사에 영원히 남을 최고의 경영학의 고전이며 경영의 기본원리이다
생산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번영을 이루게하기 위한 능력의 계발에 목적을 두었고
사회전체를 이롭게 발전시키고자 한 것이 테일러의 생각이었다
또한 테일러는 베들레헴 철강에서 실험을 하는 동안 특수철강을 발명하여
10만 달러 지금 가치로 환산하면 약 250만 달러 가량의 큰 돈을 벌었고
특허로 벌어들인 수입까지 상당하여 엄청난 재산을 가진 큰 부자가 되었다
테일러는 과학적관리법을 적용하여 '최선의 작업방법'을 적용했다
알맞은 자리에 알맞은 인력을 배치하고 작업에 맞는 작업도구와 장비를 제공하였으며
그런 다음 테일러의 지시대로 움직이게 했다
과학적관리는 동기부여를 자극하여 작업량을 늘렸고 생산량이 획기적으로 증가하였다
베들레헴에서는 궤도차에 짐을 싣고 내리는 것을 연구하였고 연탄을 퍼올리는 삽질에 대해 연구를 하여
오늘날과 같은 여러종류의 삽이 생겨나게 되었으며 '피로의 법칙'을 연구하여
작업중에 휴식시간을 도입하여 작업능률를 올리는 효과를 가져왔다
테일러가 자문한 시몬즈 롤링(Simon's Rolling) 기계회사에서는 자전거 볼링의 선별작업에서
테일러가 과학적 과업관리를 적용하였더니 생산량이 월등하게 향상되는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테일러의 과학적관리법의 효율성은 공장에서부터 일상생활에 이르기까지 확산되었으며
인류의 생활에 긍정적인 발전을 가져왔다는 면에서 테일러는 위대한 공학자로 높이 평가되고 있다
Frederick Winslow Taylor
Taylor won the U.S. Lawn Tennis Association doubles championship
using a patented spoon-shaped racket of his own design
테일러는 미국 테니스 선수권 대회에서 자기가 만들어 특허받은 스푼 모양의 라켓을 이용해서 우승했다
테니스와 골프를 잘하여 선수로도 활동하였으며 1881년 US오픈에서 우승하고 1900년 올림픽에서는 골프 4위에 올랐다
테일러는 많은 돈을 벌어 필라델피아에서 여가를 즐기고 대학과 경영전문가협회등에서 교수로 강의했다
테일러는 자기의 경영이론에 대한 확실한 믿음을 가지고 과학적관리의 원칙을 장려하기위해 열심히 활동했다
경영에 관한 논문과 원리들을 발표하고 1906년 테일러는 미국기계학회 회장으로 선출되었다
테일러는 현대사회에서 위대한 통찰력을 가진 가장 중요한 인물로 평가받았고
테일러의 명성은 더욱 높아졌다
Frederick Winslow Taylor
프레데릭 윈슬로 테일러는 <과학적관리법의 원리 1911>과 <공장 관리론 1903>을 출판하여
미국경영의 실질적인 진보를 가져왔다 테일러시스템(Taylor System)의 근본원칙이자 지도이념은
관리자가 명확한 법칙과 원리에 의해 경영하라는 것이다
테일러리즘(Taylorism)에 의한 과업관리(Task Management)에 있어 가장 핵심적인 것은
'시간연구(Time Study)'이며
시간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작업을 효율적으로 하여 생산성을 높이라는 것이다
"좋은 것은 받아들이고 좋지않은 것은 버리는 것"
바로 이것이 테일러리즘의 핵심이다
The Principles of Scientific Management 1911
The basic idea of scientific management is that humans achieve
"maximum prosperity" by improving productivity
The basic principle of management is that it should be pursued in the most scientific
and efficient direction to improve productivity
Taylor's management method plays an important role in our reality and
our daily lives and has value and meaning
과학적 관리법의 기본이념은 생산성 향상을 통해 인간이 '최대의 번영'을 이루는 것에 있다
생산성 향상을 위해 가장 과학적인 방법으로 기계와 도구를 이용하여
효율적인 방향으로 목표를 달성해야 한다는 것이 테일러 경영의 기본 원칙이다 이러한
테일러의 경영방법은 우리의 현실과 일상생활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고 위대한 가치과 의미를 가진다
Shop Management Frederick Winslow Taylor 1903
테일러리즘은 인류의 생활과 현대사회의 발전에 큰 공헌을 하였고
앞으로도 현대 지식 경영의 고전으로 우리의 생활을 긍정적으로 발전시킬 것이다
경영의 천재 Frederick Winslow Taylor
"만약 이 세상에 정의라는 것이 있다면 그 정의는 바로 테일러이다"
ㅡ 피터 드러커(Peter Drucker) ㅡ
'나뭇잎한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플레밍 (2020.11.15) (0) | 2020.11.15 |
---|---|
슈타우딩거 (2020.11.09) (0) | 2020.11.09 |
Neil Armstrong (2020.10.21) (0) | 2020.10.21 |
William Withering (2020.09.28) (0) | 2020.09.28 |
건강한생활 (2020.09.14) (0) | 2020.09.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