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뭇잎한장

닐스 핀센 (2020.12.11)

바다02874765 2020. 12. 11. 10:12

 

닐스 핀센 (2020.12.11)

닐스 뤼베르 핀센(Niels Ryberg Finsen 1860.12.15 ㅡ)

덴마크의 의사이며 과학자이다

현대 광선치료법의 창시자로 노벨의학상을 수상하여 덴마크인 최초로 노벨상을 받는다
심상성창에 관련된 질병 치료법 연구로 당대 의학발전에 큰 공헌을 했다

 

핀센박사는 덴마크 토르샤븐(Thorshavn,Faroe Islands)에서 태어났다

토르샤븐에서 초등교육을 받고 의학을 배우기위해 코펜하겐대학에 등록했다

1890년 22세에 레이캬비크대학에서 의사자격증을 취득하고 1898년 코펜하겐대학의 해부학교수 자리에 올랐다

약학을 연구하고 의학과 과학에 전념하다가 햇빛이 혈액에 이롭다는 것을 알아내고 의학에 적용하였다

태양광선이 좋지않은 균을 파괴하는 효과가 있다는 것을 발견하고

심상성루푸스(lupus vulgaris)의 자외선 치료를 계발했으며  의학적으로 큰 성공을 거두었다

자외선소독기술을 살균작용에 사용하도록 만들었으며

붉은 빛이 좋지않은 균을 죽여 천연두의 화농을 치료하는 효과가 있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핀센박사는 광선요법에 의한 의학적치료와  인체에 유익한 효과에 바탕을 두고 연구를 계속하였다

 

 

강인하고 굳건한 정신력과 의학에 대한 열성으로
인류의 생명을 구한 위대한 의사

Dr.Niels Ryberg Finsen

 

닐스 뤼베르 핀센박사는
1896년 핀센 광치료연구소(Finsen Photonics Research Institute)를 창립해 연구소장으로 연구를 시작한다

연구를 통해 광선이 좋지않은 균을 죽인다는 사실을 증명한다

1889년 천연두치료법으로 적외선 요법을, 심장 루푸스(lupus vulgaris)에 대해 적외선 적용 치료실험을 했다

피부질환에 광선 UV를 쬐었더니 좋지않은 균이 사멸되고 건강한 정상피부로 회복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핀센박사의 광선치료요법은 인체에는 유익하면서 좋지않은 균을 죽인것이다

6년간의 연구보고서엔 구루병과 폐결핵을 햇빛으로 치료한 핀센박사의 광선집중치료효과의 놀라운 성공률이 기록되어있다

핀센박사의 UV치료법은 오늘날에도 의학계와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어 인류의 건강과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핀센박사의 연구논문으로는 <빛의 피부질환에 대한 영향(Om Lysets Indvirkninger paa Huden) 1893>

<의학에서 농축된 화학물질의 사용에 대해> <유기체의 소금섭취에 대하여(En Ophobning af Salt i Organismen) 1904>가 있다

덴마크의 의학자이자 물리학자인 닐스 뤼베르 핀센박사는
햇볕으로 피부질환치료에 성공하여 1903년 최고의 명예로운 상인 노벨의학상을 받고

인류의 생명을 구하는 광선치료요법의 시대를 열었다

 

 

Dr.Niels Ryberg Finsen stamp Faroe Islands

 

The Finsen Laboratory at Copenhagen University HospitalFinsensvej in Frederiksberg
A large memorial to Finsen designed by Rudolph Tegner was installed next to Rigshospitalet

in CopenhagenMod lyset(Towards the Light), and symbolised Finsen's principal scientific theory that sunlight can have healing properties

It is situated on the corner of Blegdamsvej and Nørre Allé
In Tórshavn there is also a memorial to Finsen and one of the city's main streets, Niels Finsens gøtaKommunuskúlin

 

코펜하겐 대학병원의 핀센 연구소는 핀센박사를 기념하기 위해 명명되었다
1896년에 창립된 핀센연구소(Finsen Light Institute)는 핀센박사가 초대 원장이며 원래 현판을 그대로 갖고 있다
핀센연구소는 현재도 운영되고 있으며 코펜하겐 대학병원으로 합병되어
프로테롤리시스를 전문으로 하는 암 연구소로도 활동하고 있다
프레데릭스버그에 있는 핀센스베지 역시 핀센박사를 기리기 위해 이름이 붙여졌고

북쪽에 위치한 핀센 발전소도 핀센박사의 이름이 붙여져 있다
핀센박사의 대형 기념관이 1909년 코펜하겐의 리그쇼스피탈렛에 설치되었고

토르샤븐 중심가에는 핀센박사의 이름이 쓰여진 거리가 있다

핀센박사의 고향인 페로 아일랜드 토르샤븐에는 핀센박사의 의학적 업적과

인류의 건강에 공헌한 핀센박사의 기념비가 서 있다

 

 


핀센박사는 1899년 단네브로크 훈장의 기사가 되었으며 은십자상을 받았다
닐스 뤼베르 핀센박사는 1903년 광선요법에 관한 연구로 노벨 의학상을 받았다

스칸디나비아에서 최초로 이 상을 수상했으며 현재까지 유일한 파라오 노벨상 수상자다

1904년 핀센박사는 에든버러 대학의 치료학으로 카메론 상을 받았고 덴마크 금메달을 받았다

핀센박사는 스칸디나비아, 아이슬란드, 러시아, 독일 등에서 수많은 사회의 회원 또는 명예 회원으로 초대받았다

 

 

Finsen stamp first day cover, Copenhagen Denmark, August 1, 1960

 



빛으로 광선치료의 시대를 연 현대 빛 치료의 선구자
Dr.Niels Ryberg Finsen


핀센박사는 자기가 태어난 페로 아일랜드에서 낮과 밤이 대비되는 것에 흥미를 가지고
살아있는 생명체에 대한 빛의 효과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실험에 착수하여 천연두를 치료하는데

붉은 빛 (Red Light)를 장시간 투입하여 곪는 것을 예방하는 논문을 발표한다
심상성낭창의 치료에 탄소아크(Carbon arc)광선요법을 계발하고
천연두와 결핵의 치료에 빛을 사용하여 임상적으로 성공한 사례를 보고하였다

태양에서 나오는 빛은 모두 치료에 이용이 되며

적외선은 물리치료실에서 열을 이용하여 근육통과 인대치료에 쓰이고 

자외선UV는 살균작용과 다양한 화학작용에 활용된다

닐스 뤼베르 핀센 박사는  태양광에서 나오는 자외선UV의 살균효과를 이용하여

광치료기구를 발명하여 질병치료에 적용하였다

핀센박사의 광치료기구는 인체의 면역성을 키워 좋지않은 균을 사멸시켜 심상성낭창을 비롯한

결핵 급성인후염 폐렴 등 전염성질환을 효과적으로 치료했으며 질병의 사전예방에도 크게 기여했다

19세기 초에 이르러 핀센박사는 아크램프를 이용한 빛치료법 클리닉을 열었고
강한 광범위 빛 투여를 임상적으로 실시하여 빛을 이용한 광선치료를 더욱 과학적으로 발전시켰다
핀센박사의 명성과 치료법은 세계적으로 유명해졌고

전세계의 병원에서는 핀센박사의 광치료요법을 받아들여 치료에 적용하게 되었다

 

"나는 햇빛이 낭창을 비롯한 빈혈과 피로를 치료할수 있다고 믿기 시작했다
그래서 나는 많은 시간을 햇빛속에서 있었다
연구를 하면서 햇빛이 혈액에 유익한 치료효과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점점 더 강하게 확신하게 되었다
관찰을 통해 햇빛이 좋지않은 균을 죽여 질병을 치료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아내었고
햇빛의 치료효과를 실용화시키기 위해서는 과학적인 증명과 확실한 사실에 입각해야한다 생각했다
나는 더 정확하게 알아내기 위해 실험실에서 빛에 대해 관찰한 것을 모으고 수집하였다
이 목표를 향해 일을 하는 동안 빛의 몇가지 효과를 발견했고 임상실험을 통해

붉은 빛이 가장 강력한 치료효과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아내었다"

 

ㅡ 닐스 뤼베르 핀센 ㅡ

 

 

Niels Ryberg Finsen Nobel Prize Winner

빛으로 좋지않은 균을 죽여 질병을 치료하고 인간승리를 이룬 위대한 의사
닐스 뤼베르 핀센 박사

덴마크 코펜하겐에는 핀센박사가 햇빛의 치료효과를 발견한 기억을 기리기 위해
'빛을 향해'라는 기념비(1909)가 세워져 닐스 뤼베르 핀센박사의 업적과 명성을 기억하고 있다

 

'나뭇잎한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달렌 (2020.12.16)  (0) 2020.12.16
알바르 굴스트란드 (2020.12.14)  (0) 2020.12.14
필리프 피넬 (2020.12.07)  (0) 2020.12.07
Pierre Fauchard (2020.11.27)  (0) 2020.11.27
플레밍 (2020.11.15)  (0) 2020.11.15